![align=top](//www.thefestival.co.kr/data/cheditor4/1004/h2Pz9f1bkfgWcdqe3An.jpg)
술과 멋을 아는 흥겨움은 모든 축제에 반드시 들어간다. 예수그리스도의 기적 중에 혼인잔치에서 물을 포도주로 변화시킨 놀라운 일이 성경에 나와있다. 백운산 지하 200미터 암반에서 나온 맑은 물이 술로 변하는 기적을 이 곳 산사원에서 보여 주는 것이다. 배상면주가라는 그 유명한 전통주메이커가 이 곳 포천의 화현면 화현리에 전통주 박물관을 만든 이유가 바로 암반수의 수질이라고 한다.
![align=top](//www.thefestival.co.kr/data/cheditor4/1004/UoSPuk6sJlumlmhlbylzW2hwo6MFkTb.jpg)
전통주(傳統酒)는 현대의 술과 달리 건조한 지성을 극복하는 감성해방구였다. 우리 조상들은 맛과 향이 깊은 전통술을 마시면서 삶의 굴레를 벗어나 자연과 영적인 존재와 하나가 되려고 하였다. 전통술은 단순히 음료가 아니었고 우리 조상들의 축제문화에서 뺄 수 없는 신성한 음식이었다. 술을 통하여 놀이와 예술로서 소통하고 세상의 모순을 극복해 나갔다.
![align=top](//www.thefestival.co.kr/data/cheditor4/1004/xLD7YB8mvur.jpg)
1996년 개관하였고, 2001년 7월 갤러리와 함께 재개관한 산사원박물관은 연평균 3만명의 여행객이 다녀간다. 넓은 공간에 수많은 볼 것들과 함께 우리의 전통 술 문화를 알려주고 이야기가 있다.
갤러리 산사원은 전통주 박물관으로 1시간 정도 들려 가기에 전혀 시간이 아깝지 않은 곳이다.
![align=top](//www.thefestival.co.kr/data/cheditor4/1004/lxW4HcT3XVFz6QJzCNrORk2hBge9te.jpg)
![align=top](//www.thefestival.co.kr/data/cheditor4/1004/jTyniJAPO1c2vB8SibwYwjYXZqtJ9T1w.jpg)
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집에서 술을 빚어 마시는 풍습이 있었다. 술은 음료가 아닌 신성한 음식이었기 때문이다.
집에서 빚는 술을 가양주(家釀酒)라고 하는데 이 곳 갤러리산사원에 가양주에 대한 옛 이야기들이 살아 있다. 조선시대만 해도 백하주 이화주 삼해주 청감주 부의주 등 유명했던 술이 3백여 가지가 있었는데 일제 식민지를 거치며 가양주 문화는 뿌리가 흔들려 국내 주류시장이 변해 버렸다고 한다. 이 곳에 많은 스토리(Story)가 있으며, 축제 이야기가 배어 있다.
![align=top](//www.thefestival.co.kr/data/cheditor4/1004/9yHSXMNknLve.jpg)
미니 양조장도 있어서 눈으로 전통주 만드는 과정을 볼 수 있다. 겹오가리 술독과 미니증류 시설을 볼 수 있고 3층 발효단에서 숙성과정과 발효과정을 공부할 수 있다. 2층의 증류단에 이어 1층의 포장단과 시음장을 거치며 공부하는 기분이 들어 모두들 즐거워 한다.
![align=top](//www.thefestival.co.kr/data/cheditor4/1004/SmyFP7kjXaTSsCbIXvACwEQaN.jpg)
![align=top](//www.thefestival.co.kr/data/cheditor4/1004/RYCdpfvz6.jpg)
▲ 역대 배상면주가의 역대 CF모델이 나온다. 위는 2004년 산사춘 모델 김정은의 실제 크기 손과 친필 싸인.
![align=top](//www.thefestival.co.kr/data/cheditor4/1004/ZFC5hIG1xBr69ZVqS1j1l.jpg)
1층에서 무료시음 뿐 아니라 값싸게 판매하기도 한다. 아직 시장에 유통개시하지 않은 특이한 술들도 만날 수 있어 쇼핑의 기쁨도 한껏 맛보고 돌아갈 수 있다.
입장료와 주차료를 받지 않는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