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](/upfile/img/2016/09/admin_1474450114.jpg)
종별 / 지정번호 |
향토유적 제4호 |
|
|
지정년월일 |
1987년 9월 10일 |
|
소재지 |
일직동 산 26-7 |
|
소유자 |
이 병헌 |
|
관리자 |
이 병헌 |
교통편 : 5627번, 5633번(종점에서 하차) 3번,12번, 17번 (일직 주유소 앞에서 하차)
![](/upfile/img/2016/09/admin_1474451462.jpg)
이 순신(1554~1611)은 조선중기 선조때의 무신으로 양녕대군의 후손이다.
선조11년(1578) 무과에 급제한 후 선조25년(1592)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충무공 이순신의 중위장 이 되어 당황포 싸움과 한산도 해전, 부산포 해전에서 왜선을 크게 격파하였다.선조31년(1598)에는 경상우도 수군절도사로서 노량해전에 참전하여 충무공이 전사하자 전군을 지휘하여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. 전 후(1604년) 선무공신 3등에 책록되고 완천군에 봉해졌다. 시호는 무의이다. 묘소는 장대석으로 호서을 둘렀는데 직사각형(방형)으로 되어있다.묘 앞에는 상석, 향로석, 문방석, 그리고 좌, 우에는 망주석과 문안석이 있다.
![](/upfile/img/2016/09/admin_1474451482.jpg)
![](/upfile/img/2016/09/admin_1474451490.jpg)
우리가 알고 있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과 동명이인이다.
무의공 이순신(李純信, 1554~1611)은 충무공 이순신(李舜臣, 1545~1598)의 부하 장수다.
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원균( 元均)의 후임으로 다시 통제사가 되자 휘하의 중위장으로 활약하였다.
1592년 임진왜란 때 방답진첨절제사로서 충무공 이순신장군 막하에서 중위장으로 옥포해전에 참가하여 전공을 세운 뒤 전부장으로서 항상 선봉이 되어 당항포, 한산, 부산포 등의 해전에서 적을 크게 무찔렀으며 노량해전에서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전사한 후, 수군을 통제해 충무공 이순신장군의 역할을 대신했다.